목록낚시/낚시지식 (25)
분노의 챔질
출처 http://www.ybada.co.kr 부산바다 : 꿈낚는낚시꾼 ( 갯바위왕자 ) 테트라포트는 많이 위험 합니다~ 예전 테트라는 그나마 크기가 작고 부실공사(시멘트가 적게 들어간 모양)인지 표면이 그렇게 맨들 맨들 하지가 않아서 물끼가 조금 묻더라도 미끄럼이 좀 덜 하지만 근래들어 만드는 테트라는 규모가 4~5배가 나지요~ 무게가 70톤 정도 된답니다~ 크기가 크니 당연히 쌓아논 공간이 넓고 공간깊이 또한깊지요~ 해서 테트라를 탈때 아래를 내려다 보면 겁부터 나는게 사실입니다.... 위험한 곳인줄 알면서도 또 그길 타고 다녀야 하는 우리들이기에 조금이나 안전하게 다닐수 있는 방법을 몇가지 올려 드립니다. 1-테트라를 탈때는 벌어진 사이를 뛰어 건너지 마라- 사이가 벌어진 틈은 무리해서 건너 뛰지말..
사진을 보니 복잡하네.. 기본적으로 오일은 베어링, 베일암과 로터의 접지면, 핸들의 조인트 정도 그리스는 각 부분의 기어, 베일암 내부의 스프링, 스토퍼레버(ON,OFF 레버) 스프링 정도 적당하게 너무 떡칠하지 말것 그리고 WD40으로 세척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절대 WD40으로 세척해서도 발라서도 안된다고한다. 가장 중요한건 원웨이베어링이란 곳에는 절대 그리스나 오일을 바르면 안된다. 역회전이 될수있어서 고장의 원인이란다. 시중에 많은 릴오일과 그리스를 판다 근데 가격이 비싸다 ㅡ,,ㅡ; 릴오일이나 그리스의 대용품으로 오일은 미싱기계용 오일 그리스는 가정용 운동기계에 쓰는 그리스가 좋다고 한다. 하지만 전용제품을 사용하는게 여러모로 좋다고 생각한다.
1. 스피닝릴의 종류 1) 드랙릴 스피닝릴에는 드랙릴과 LB릴이 있는데, 초보 조사님들은 주로 드랙릴를 먼저 사용하고 LB릴을 나중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드랙릴은 드랙조절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줄이 풀려 나가고 원투시에도 편리 하기 때문이다. 2)구형 LB릴 구형 LB릴은 대물이 물었을때 브레이크레버를 작동 시켜 순간 대처 능력은 뛰어나지만, 릴 뒤 부분의 역회전 방지시스템을 작동 시키고 레버를 사용하여 대물과의 한판 승부를 벌려야 하기 때문에 오판하면 대물과의 한판 승부가 실패할 경우가 있다. 또한 원투시에 레버에 의하여 줄 걸림이 생길 수 있다. 3)신형 LB릴 최근 생산되는 신형 LB릴은 드랙릴의 장점과 접목되어 2가지 릴의 만남으로 제작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원터치 브레이크로 되어 있어 ..
어 류 (230종) 먹장어 묵꾀장어 칠성장어 괭이상어 삿징이상어 꼬리기름상어 불범상어 두톱상어 별상어 표범상어 모조리상어 노랑가오리 흰가오리 목탁가오리 홍 어 상어가오리 가래상어 전기가오리 은상어 전 어 청 어 눈퉁멸 밴댕이 준 치 정어리 샛줄멸 싱 어 웅 어 멸 치 반 지 뱀장어 붕장어 갯장어 샛 멸 은 어 연 어 쏠종개 히메치 날매퉁이 매퉁이 황매퉁이 동갈치 꽁 치 날 치 학공치 양미리 홍대치 대 구 명 태 아 귀 황아귀 금눈돔 도화돔 철갑둥어 민달고기 달고기 숭 어 애꼬치 꼬치고기 까나리 열동가리돔 줄도화돔 독 돔 황옥돔 옥 돔 갈전갱이 민전갱이 가라지 병치매가리 잿방어 방 어 전갱이 세동가리돔 여덟동가리 만새기 망상어 선홍치 벵에돔 사랑놀래기 호박돔 용치놀래기 황놀래기 어렝놀래기 옥두놀래기 노랑촉..
망상어 망상어 Ditrema temmincki Bleeker 농어목 Order Perciformes 망상어과 Family Embiotocidae 방언 : 망싱이, 망치어, 맹이, 바다망상어(남해) 영명 : Ocean perch, Surf fish, Surf perch, Sea chub 일명 : Umi-tanago 형태적 특징 몸 빛깔은 서식장소에 따라서 다르나, 보통 등쪽은 짙은 청색 또는 적갈색, 대부분은 은백색이며, 적갈색인 경우 등지느러미 가시부분 끝가장자리에 흑갈색의 선이 있고 몸 옆구리에는 적갈색의 세로띠가 많이 있다. 몸은 계란형으로 매우 측편되어 있으며, 머리의 등쪽부분은 약간 오목하다. 눈에서 윗턱 뒷부분에 걸쳐 흑갈색의 비스듬한 선이 2개 있다. 입은 작고, 양턱 길이는 같으며, 양턱에는..
사진출처 나만의 수제찌 http://www.sujezzi.kr/ 나만의 수제찌 카페 http://cafe.naver.com/sujezzi 수심 층 별로 사용할 수 있는 찌의 종류를 알아보자. - 수심 3 미터에서는 2B혹은 3B - 수심 4 ~ 5미터에서는 4B ~ 5B - 수심 6 미터 에서는 5B ~ 0.6호 - 수심 7 미터에서는 0.6호 ~ 0.8호 - 수심 8 ~ 9미터에서는 0.8호 ~ 1호 - 수심 12미터에서는 1호 ~ 1.2호 - 수심 15미터이상은 2호이상 의 찌를 사용하는것이 적당하다. 조류가 빠를때나 파도가 높을때는 한단계 위의찌를 조류가 없고 잔잔하면 한단계 아래의 찌를 사용하면 좋다 합니다. 2B로 10미터에서 사용하면 반전유동이 되겠죠..ㅋㅋ
낚시할때 다른건 몰라도 꼭 구명조끼는 챙겨서 낚시를 하자.. 우선 생명을 구하는 구명조끼는 다른장비보다도 먼저 구입해서 입는게 좋다고 본다. 낚시복, 갯바위단화.. 없어도 된다.. 있다면 더 좋겠지만.. 구명조끼는 꼭 있어야 된다고 본다. 생명을 지켜주는 소중한 장비 중에 한개이다. 구명조끼 착용시 다리사이에 착용하는 끈이 있다. 반드시 다리사이에 넣어 착용하는게 좋다. 바다에 빠질시 구명조끼가 이탈하는것을 방지한다. 또한 테트라나 높은곳에서 떨어지게 된다면 구명조끼가 1차 완충을 해주기 때문에 몸을 보호해준다. 각종 소품 및 채비를 넣고 다닐수있기 때문에 편리한 면도 있다. TIP 구명조끼 부력재를 보호하기 위해 큰 지퍼팩에 부력제를 담아 잠근후 다시 구명조끼에 장착하는 분도 계시다. 아무래도 이렇게 ..
[별표 11] 수산동식물의 포획ㆍ채취금지기간(제11조제1항 관련) 수산동식물 학명 포획ㆍ채취금지기간 1. 어류 가. 개서대 Cynoglossus robustus 7월1일부터 8월 31일까지 나. 대구 Gadus macrocephalus 부산광역시ㆍ울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한정하여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다.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 12월 1일부터 다음 해 1월 31일까지 다만, 경상북도는 2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라. 연어 Oncorhynchus keta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마. 전어 Konosirus punctatus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다만, 강원도와 경상북도는 제외한다. 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11월 1일부터..